상세 컨텐츠

본문 제목

객지의 내재율

나의 뜰/마음 안에 풍경.2

by 김낙향 2018. 3. 20. 23:05

본문




객지의 내재율 / 소연

 

 

밥을 얻으려고 고개 숙여 본 사람은 안다. 자존심을 갈무리하는 방법을. 빠듯한 일상에 길든 채 무디게 살아도 부족함은 힘이다. 봄날 맨몸으로 무성해지는 나무처럼 가난은 내일로 향하는 간절한 원동력이다. 그러나 삶이 다 다르다는 이유로 달려도 달려도 다다르지 못하는 거리가 있다. 열정 쏟아붓고 닳도록 몸을 부려도 노동은 쓸수록 고귀해지는 게 아니라 비천해진다. 번득이는 창조로 기계 내장을 성형하던 이도, 하이칼라의 상징이 되었던 이도, 노동을 반납하지 않아도, 연륜이 깊어 존재의 가치가 높아도 밥그릇을 빼앗기는

 

이렇게 살 수도 없는 서른 살이 있고

이렇게 살 수밖에 없는 마흔 살이 있다

이렇게 죽을 수도 없는 예순 살, 일흔 살도 있다

젊은이에겐 미생이 두렵고

늙은이에겐 완생도 서글프다

 

다르게 살면서

같아 보이려고 온 힘을 기울이는 것도

매일매일 들이닥치는 오늘과 친해지려고 애쓰는 마음도

다 객지客地다



*  2015년 / 시에티카



'나의 뜰 > 마음 안에 풍경.2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황반변성  (0) 2018.04.23
담쟁이  (0) 2018.03.21
외진 시간에  (0) 2018.03.20
빈방 하나 없나요  (0) 2018.01.24
눈 오는 날  (0) 2018.01.06

관련글 더보기